top of page

마을 스와라지

 

저자 : M. K. 간디

편집 : H. M. 브야스

역자 : 황  인  채 

원문 영문으로 읽기

제11장

 

자급자족과 상호간 협력

 

진리와 비폭력은 내 착상에서 질서의 기초를 형성한다. 우리의 첫 번째 요점은 우리가 사회에서 책임을 떠맡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자력에 의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견지에서 자급자족은 그것자체로서 사회봉사의 일종이다.

자급자족이 된 이후에는 우리의 여분의 시간을 다른 사람에게 봉사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모두가 자급자족이 된다면, 걱정거리는 아무것도 없을 것이다. 사태가 이러한 상태에 놓이면 어떤 사람에게도 봉사를 할 필요가 없게 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아직 그러한 단계에 도달하지 않았고, 그리고 그 때문에 우리는 사회적 봉사를 생각해야 한다. 만약 우리가 자급자족의 실현에 완벽하게 성공했다고 한다면, 사람들은 사회적 존재가 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형태나 다른 형태의 사회봉사를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사실은, 사람은 상호의존적인 한편 자립적이다. 의존이 좋은 질서로 사회를 지탱하기 위하여 필수가 되었을 때 그것은 더 이상 의존이 아니고, 단지 협력일 뿐이다. 협력 안에서 쾌적함이 있다. 협력하는 자들 사이에서 약한 자도 강한 자도 없다. 각자는 다른 사람과 동등하다.

그곳에서는 의존이 쓸데없는 것이라는 느낌이 있다. 가족의 구성원은 상호의존적인 한편 자립적이다. 네 것 또는 내 것이라는 느낌이 없다. 그들은 모두 협력자들이다. 그래서 역시 우리가 한 사회를 생각할 때, 국가나 인류 전체가 가족처럼 모든 사람이 협력자들이 된다.

우리가 이러한 협력의 그림을 착상할 수 있다면, 우리는 그곳에서는 생명이 없는 기계로 지탱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 기계의 사용을 대규모로 하는 대신 우리는 최소한으로 그것의 사용을 하게 될 것이고, 그리고 그 안에서 참다운 안전과 사회에 의한 보호가 놓여 있을 것이다.

The Ideology df the Chakha, 1951. p86-88

----------------------------------------------------------------------

자급자족에 대한 나의 관념은, 촌락들이 음식과 옷, 그리고 다른 기초적 필수품들을 자급자족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그렇기는 하나 이것이 과도할 수 있다. 그래서 당신은 나의 견해를 적당하게 이해해야 한다. 자급자족을 좁은 의미로 이해하지 말아야 한다.

자급자족이 되는 것이 전적으로 자기 충족적이 되는 것은 아니다. 주변 형편에 따라서 우리는 우리가 필요한 모든 물건을 생산할 수 없을 수 있다. 그래서 우리의 목표는 완전한 자급자족이지만, 우리는 우리가 마을 안에서 생산할 수 없는 것을 밖에서 입수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생산할 수 없는 것을 교환에 의해서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우리에게 필요한 물자보다) 좀 더 많이 생산하지 않으면 아니 될 것이다.

H., 30-11-'35, p.333

----------------------------------------------------------------------

이상적인 상태는 의심할 바 없이 모든 가정들이 각각 목화를 재배하고, 실을 잣고, 베를 짜고, 그리고 그들 자신의 무명옷을 입는 것인데, 그것은 마치 모든 가정이 각각 자신의 땅을 소유하고, 그들 자신의 곡식을 기르고, 요리를 하고, 그리고 그것을 먹는 것과 같다.

Khadi-Why and How, 1959, p.166

----------------------------------------------------------------------

음식에 관해서는, 인도는 기름진 땅을 많이 가졌고, 충분한 물이 있고, 인력도 부족하지 않다… 대중들이 독립할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한다. 한번 그들이, 자신들이 자신들의 다리로 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그것이 주변 환경에 영향을 주게 되기 마련이다.

인도는 자신의 필요 보다 더 많은 목화를 생산한다. 사람들은 실을 잣고 그들 자신이 베를 짜야한다. 사람들은 그들 자신의 무명옷(Khadi)을 생산하여야 한다. 한번 대중들이 그들 자신의 음식과 옷을 생산하게 되면, 그것은 그들의 모든 견해를 바꾸게 되기 마련이다.

H., 19-10-'47, p.379

----------------------------------------------------------------------

자급자족은 거창한 단어이다… 만약 그들이 그들의 기본적인 필수품에 관하여 자급자족하지 못하고, 불화에 의하여 생긴 내적인 분열과 질병을 해결하지 못하며, 도둑들과 비적들부터 오는 외부의 위험을 막지 못한다면, 촌락들은 사라져 버릴 것이다.

자급자족은, 따라서, 옷의 생산절차와 계절적인 식용작물의 재배와 가축의 사료 모두를 뜻한다. 그것을 할 수 없게 된다면 기근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독립은, 공동체 조직이 마을의 현명한 사람들에 의한 중재를 통하여 상호간의 불화의 조정을 보장하고, 위생에 대한 공동체의 주의에 의해서 청결을 보장하고, 보통의 질병들을 막을 것을 뜻한다. 단지 개인적인 노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먼저, 촌락들이 도둑들과 비적들에 대하여 견뎌낼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힘을 합하는 것에 의하여 그들 자신의 힘을 느끼도록 훈련되지 않으면 아니 된다. 이것은 공동체가 비폭력에 의해서 해결할 수 있다면 최상이다. 그러나 만약 비폭력의 방식이 활동가들에게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그들은 폭력을 통한 공적인 방어망을 조직하기를 주저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H., 5-4-'42, p.107

----------------------------------------------------------------------

자급자족하는 면직물은 실 잣는 사람들 자신들이 재배하는 면화가 없거나 모든 촌락에서 실제로 재배하지 않는다면 결코 성공할 수 없다. 그것은 자급자족하는 면직물에 관한한 최소한 어느 정도까지는 면화재배가 분산화 되어야 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우리는 이것에 종사할 마을사람들에 대한 인구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실을 잣는 사람들이나 베를 짜는 사람들이 매우 작은 땅을 가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곳에 남자 또는 여자는 면화를 제배할 수 있다.

자급자족하는 면직물은 그 일을 위하여 협동조합들의 연합체를 만드는 것을 정당화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그것이 어느 정도의 규모가 적절한가에 대해서 언급되지 않은 지금까지는 그것은 아직 손대지 않은 분야이다.

H., 27-7-'35, p.188

----------------------------------------------------------------------

우리는 단지 우리에게 제일 가깝고 잘 알려진 신의 창조물의 그 부분에 봉사할 수밖에 없다. 우리는 우리의 이웃집 사람들과 함께 봉사를 시작할 수 있다. 우리는 우리의 안뜰을 청결하게 지니는 것으로 만족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 이웃의 안뜰도 역시 깨끗하게 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우리는 우리의 가족에게 봉사할 수 있으나, 가족의 이익을 위하여 마을에 헌신할 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 각자가 우리자신의 한계를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 우리 자신의 명예는 우리 자신의 마을의 것을 보존하는 것 안에 놓여있다. 봉사를 위한 우리의 능력은 우리가 사는 세계에 대한 우리의 앎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제한된다.

그러나 나에게 가장 간단하고 가능한 말로 설명하게 해다오. 우리 이웃의 것보다 우리 자신의 것을 더 적게 생각하게 하자. 우리 안뜰의 쓰레기를 이웃의 안뜰에 버리는 것은 일류에 대한 봉사가 아니고 학대이다. 우리의 이웃에 대한 봉사로 시작해 보자.

H., 22-8-,36, p.217

----------------------------------------------------------------------

농업에 관한한, 우리는 땅의 더 많은 분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 하여야 하고, 그리고 사람들이 협동조합의 형성을 받아들이는 것을 장려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Khardi- Why and How, 1959, p.162

----------------------------------------------------------------------

마을은 혼자 힘으로 협동조합에서 면화를 재배하는 것이 좋다. 만약 이것이 완성된다면, 수입한 옷이 가격과 내구성에서 지역에서 이렇게 생산한 옷을 이길 수 없다는 것을 간단히 알기에 충분할 것이다. 그 과정은 에너지에 대한 대단한 절약을 유도한다.

H., 20-4'35, p.80

----------------------------------------------------------------------

사람이 동물로부터 구별되는 것은 바로 인간의 사회적 특성이라는 것을 우리는 역시 잊지 말자. 만약 독립하는 것이 그의 특권이라면, 상호 의존하는 것도 똑같이 그의 의무이다. 단지 오만한 사람만이 그 외의 모든 사람으로부터 독립적이 되고 자급자족하라고 요구할 것이다.

우리의 마을을 마을사람들이 개별적이지 않고, 전체적으로 그들의 옷에 대한 요구에 관한한 자급자족적이 되도록 우리의 마을들을 재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Y.I., 25-4-'29, p.135

----------------------------------------------------------------------

작년에 마드라스 안에서의 협력적인 사회에 대해서 말했듯이, 나는, 지난해에 내가 세계에 알려진, 손으로 실을 잣는 일을 하는 가장 큰 협력적인 사회를 발견하기 위해서 노력하였던 일을 말했다. 이것은 거짓된 것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어마어마한 규모일지도 모른다. 수백만의 사람들이 그것 안에서 실지로 협력하지 않았다면, 손으로 실을 잣는 사람들은 의도된 목적에 봉사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것은 거짓된 것이 아니다.

어느 전형적인 중심시설의 활동을 알아보자. 그 중심시설 사무실은 실을 잣는 사람들을 위해 씨가 있는 면화를 수집한다. 그 면화는 아마 그 시설에서 씨를 빼는 자들에 의해서 씨를 뺀다. 그것은 가늘고 긴 형태의 섬유 조각들을 제공받아 정돈하는 소모기들에 분배된다. 이것들은 이제 수 주일 동안에 그들의 실을 잣아서 가져올 자들에게 분배할 준비가 되었고, 그리고 갓 정돈되어진 섬유조각들은 빼내지고, 답례로 임금을 받는다.

이렇게 제공받은 그 실은 베를 짜기 위해서 방직공들에게 제공되고 그리고 팔기 위한 면포 형태로 만들어 진다. 이 면포는 이제 소비자인 방직공들에게 팔지 않으면 안 된다. 이렇듯 그 중심시설 사무실은 계급이나 피부색이나 종교와 관계없이 매우 큰 규모의 대중들을 끊임없이 생활인으로 접촉하여야 한다.

분배하는 배당금이 없는 그 중심시설은 가장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것을 제외하고는 배타적인 돌봄을 제공하지 않는다. 유용한 그 시설은 어떤 의미에서도 그자체가 깨끗하게 운영되지 않으면 아니 된다. 그것 사이의 동맹들 그리고 광대한 조직의 그 구성 부분들은 순수하게 영적이거나 도덕적이다.

실 잣는 사람들의 중심시설은, 그러므로, 하나의 협력적 사회인데, 그 구성원들은 면화씨 빼는 사람들, 실을 잣는 사람들, 소모기로 일하는 사람들, 베를 짜는 사람들 그리고 구매자들인데, 모두가 하나의 공동의 동맹, 상호간 선의, 그리고 봉사로 함께 묶여있다.

Y.I., 10-6'26, p.214

----------------------------------------------------------------------

성공적인 상호간에 협력하는 노력의 비밀은, 구성원들이 정직하지 않으면 안 되며, 협동의 커다란 장점을 알아야 하며, 그것이 명백하게 진보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아니 된다. 따라서 과도한 비율의 이익을 채우는 것에 의해서 많은 돈을 만들기 위하여 협동조합에서 어떤 액수의 돈을 보유하려는 것은 잘못된 목표이다.

그러나 협동조합 농업이나 낙농업은 의심할 것 없이 국가의 이익을 촉진시키는 좋은 목표이다. 이러한 실례는 증산시킬 수 있다. 나는 이런 일들이 사회들에 매우 많이 있다는 것을 기이하게 여긴다. 그들은 그들의 일을 아는 정직한 감독자를 가지고 있는가? 관리자가 가끔 정직하지 못하고 그 목표가 의심스러울 때, 이러한 관리자들이 주는 피해가 막심하다고 밝혀질지도 모른다.

H., 6-10-'46, p.344

bottom of page